1. 반성과 피드백을 위한 성찰
반성 및 피드백은 성찰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고 되돌아보거나 타인의 유용한 의견을 수용하는 것이다 계획이 완료되면 사람들은 지난 일을 평가하는 것에 소홀해 진다. 반성 및 피드백이 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앞서 반성과 피드백은 지속적인 성공의 습관을 가지게 하거나 성공을 준비하게 하는 역할을 할 만큼 가치가 높다.
반성과 피드백을 위해서는 성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성찰의 사전적 의미는 '자신이 한 일을 깊이 되돌아 보는 일'을 뜻하며 자신의 내면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심리학에서는 메타인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교육학적으로는 성찰을 듀이의 '반성적 사고'로 설명하며, 합리성과 증거를 바탕으로 신념을 확립하려는 의식적이고 자발적인 행동으로 해석한다.
성찰은 기존의 인지구조에 바탕을 두고 새로운 경험이나 지식을 평가하고 해석함으로써 새로운 이해를 이끌어내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성찰은 우리의 사고나 신념체계가 가지고 있는 왜곡을 수정하고 발전적 학습으로 지향해 가기 위한 동인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성찰은 개인적 성찰과 사회적 성찰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개인적 성찰은 자시느이 경험과 학습한 내용에 대해 성찰하는 것을 말하며, 사회적 성찰은 특정팀에 속해 팀원들과 토론 및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협력적으로 이루어지는 성찰을 의미한다.
2. 성찰의 3요소
1. 기술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성찰은 정직한 기술로부터 시작되며 사실적 기억 없이는 지혜, 깨달음, 지식도 없다. 기술이 정확할수록 자기 관리에 있어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이해가 깊어진다. 이때 기술의 기본은 육하원칙에 대한 사실적 복원이다.
2. 해석
사물을 자세히 풀어서 논리적으로 밝히고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성찰의 정수는 인과관계의 파악이다. 인과관계를 제대로 파악할수록 배움의 폭과 깊이가 달라지낟. 기술이 태도의 문제라면 해석은 개인의 사고력에 달렸다. 해석의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 자주 토록하고, 생각하는 힘을 키워야 한다.
3. 평가
사물의 가치나 수준을 평하는 것이다. 해석이 이성의 문제라면 평가는 의지와 가치관의 문제다. 기술 이후 해석하고 분석한 겨과는 평가를 통해 개인에게 적용해야 한다. 효과적인 반성 및 피드백을 위한 성찰을 위해 질문을 해 본다.
□ 어떤 목표를 성취했는가?
□ 일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어떤 장애물을 만났는가?
□ 장애물에 어떻게 대응했는가?
□ 비전과 목표에 따라 일정을 세웠는가?
□ 수행은 효과적인 행동에 집중됐는가? 불필요한 행동은 없었는가?
'평생공부 > 자기계발&자기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 탄력성 (0) | 2023.10.27 |
---|---|
내면 관리 (2) | 2023.10.26 |
자기 관리 프로세스-일정 수립&수행 (1) | 2023.10.22 |
자기 관리 프로세스-과제 발견 (0) | 2023.10.20 |
자기 관리 프로세스 5단계-비전 및 목표 정립 (0)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