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3 영역의 주요 핵심사항은

놀이와 일상생활에서의 교사의 반응적 상호작용 지원과 또래 간 놀이상황에서의 상호작원 격려, 긍정적 관계형성(교사와 영유아, 또래간) 입니다.

‘상호작용의 횟수’가 아니라, 교사가 영유아의 감정과 필요를 얼마나 세심하게 읽고 반응하는지, 영유아가 서로를 존중하고 협력할 수 있도록 교사가 어떻게 지원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핵심

 

 

 

 

3-1 교사와 영유아의 반응적 상호작용

 

[부적절한 수준]

영유아가 비언어적, 언어적 표현을 하지 못하도록 억누르거나, 부정적으로 반응한다.

영유아의 놀이를 강제로 멈추거나 놀잇감을 치운다.

전체 교실의 영유아를 살피지 않거나 혹은 무관심하게 바라만 보고 있다.

영유아의 성, 신체적 특성, 장애, 종교, 가족 및 문화적 배경 등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거나, 무시한다.

 

[적절한 수준 핵심]

교사의 영유아 감정 언어 반응

  - 비언어적 신호에 대한 언어 반응

  - 부적절한 교사의 부정적 언어사용

영유아 놀이 시 적절한 반응/개입

  - 놀이에 대한 교사의 적절한 참여

교사의 일방적 놀이 진행, 개입 금지

  - 영유아의 요구를 무시한 놀이시간 일과대로만 운영 부적절

놀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발문 지원

 

 

3-2 영유아 또래 간 상호작용 격려

[부적절한 수준]

 영유아의 자유로운 대화가 허락되지 않는 엄격한 분위기 속에서 활동이 이루어진다.

영유아 간 다툼이나 문제가 발생해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적절한 수준 핵심]

또래간 발달 수준에 맞는 지원

지시적 명령적 다툼 해결 금지

교사의 일방적인 다툼 해결 금지

   - 다툼 발생 시 반드시 영유아의 이야기 경청하기, 반응하기

영아의 비언어적 신호의 언어표현

관찰당일 다툼이 없으면 다툼해결 방법을 교사 면담으로 확인

다툼 해결 시 한 가지 방법만 반복금지

다툼 발생 시 유아들 스스로 해결할 기회를 제공하기

반응형